중앙아시아
Central Asia
-
중앙아시아의 유일한 민주주의 나라 키르키스스탄
살람 아스커르.... 샬롬 ! 우리 주 예수님의 평안으로 키르키스스탄에서 인사 올립니다. 저는 키르기스스탄 아둘람 커뮤니티 형제들 사역을 맡고 있는 정문석 입니다. 여러 중앙아시아 국가 중에서 정치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국가인 키르기스스탄에서 사역 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팀은 파미르 산계의 알타이 산맥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아크부라강이 페르가나 분지로 나오는 출구에 있으며, 안디잔에서 오는 철도 지선의 종점인 오슈라는 도시에 사역 베이스를 두고 사역하고 있습니다. 오슈는 파미르 고원으로 가는 자동차 도로의 시발점이기도 합니다. 키르기스스탄의 수도는 비슈케크 입니다. 민족이나 인종을 구분하면 키르기스인(73.6%), 우즈벡인(14.8%), 러시아인(5.3%), 둥간인(1.1%), 위구르인(0.9%), 타지크족(0.9%), 터키인(0.7%), 카자흐인(...Date2021.09.24 Category키르기스스탄 Views149 -
중앙아시아 독재 국가 투르크메니스탄
이 나라에 대해서 어떻게 설명해 드려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사로브마레이큼.... 고위미 야그다이라릉이즈? 투르그멘어로..... 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갑습니다라고 인사를 드립니다. 저는 아둘람 중앙아시아 프로젝트 투르크메니스탄 사역을 하고 있는 이범호 입니다. 저의 사역을 소개하자니 여러가지로 복잡합니다. 우선 사역지인 투르크메니스탄은 합법적으로 현지 체류가 여러가지로 어렵습니다. 물론 현지에는 고려인들을 비롯한 우리 한국 교포들도 조금은 살고 있지만 우리 사역팀은 최소한 투르크메니스탄 사역에 대해서는 현지의 복잡한 비자 문제를 약간 우회하여 5일짜리 경유 비자를 받아 출입을 하며 사역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유일하게 중아아시아 사역팀 중에는 우리 투르크메니스탄 사역팀은 현지에 사역 게스트가 없습니다. 더구나 여...Date2021.09.23 Category투르크메니스탄 Views121 -
세계에서 아홉번째로 큰나라 카자흐스탄
즈드라스트부이째.... 아침이니까.... 도부라에 우뜨라.... 이렇게 카자흐스탄 아침 인사를 해야 겠지요? 샬롬 ! 사랑하는 아둘람 여러 형제들, 주 안에서 모두 안녕들 하신가요? 추석은 잘 보내셨나요? 오늘은 카자흐스탄의 두 도시에 대한 이야기를 해 드릴까 합니다. 이 나라의 공식적인 명칭은 카자흐스탄공화국 입니다. 북쪽으로 러시아연방, 동쪽으로 중국·몽골, 남쪽으로 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에 접하고, 서쪽으로는 카스피해에 면하고 있습니다. 약 120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국가로 우리 한민족도 9번째로 많은 약 10만 명(0.6%)이 거주합니다.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면적이 넓지만 대부분 스텝 지역인 탓에 인구에서는 세계에서 62번째, 인구밀도에서는 215번째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중앙아시아 ...Date2021.09.23 Category카자흐스탄 Views109 -
투산베에서 소식 전합니다.
타직의 투샨베에서 인사 올립니다. Приве́т. 쁘리비옛 ... 타지키스탄은 1937년 스탈린치하에서 극동 및 연해주지역에서 강제이주된 한인동포 1세 와 그 후예들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내란이라든지 정치적 혼란으로 대부분 인접국가로 거주지를 옮기는 동포가 늘고 있는 나라 입니다.. 최근 통계 보고서에 의하면 640여 명의 고려인 동포와 109명의 한국교민이 살고 있다고 하지만 통계 자체를 믿기가 어렵습니다. 타지키스탄은 대부분 산악지대로, 동부에는 파미르 고원이 있으며 북부와 남서부는 저지대로서 사막 기후를 띱니다. 높은 산에 둘러싸인 남서부 강 아랫쪽은 중앙아시아에서 제일 더운 편입니다. 민족 구성은 타지크인 65%, 우즈베크인 25%, 러시아인 2%이며 이슬람 공화국 중의 하나입니다. 옛부터 동 이란계로 분류되기도 하는 스...Date2021.09.13 Category타지키스탄 Views199 -
아살람 알레이쿰 ...
아살람 알레이쿰 ... 안녕하십니까? 이말은 당신에게 평화가 있기를 바란다는 아랍어 인삿말입니다. 대부분 무슬림 국가에서는 이 인삿말을 사용 합니다. 우즈베키스탄는 무슬림 국가라 이 인삿말을 사용 합니다. 보통 이렇게 인사를 하면 대부분의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은 바 알레이쿰 아쌀롬 이라고 답인사를 해 줍니다. 하지만 나이에 따라서 조금 인사법이 다르기도 합니다. 나이 어린 사람이 어른에게 아쌀롬 알레이쿰을 쓰면 어른은 답으로 바알레이쿰 아쌀롬 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나이가 비슷한 사람끼리 인사를 한다면 바알레이쿰 아쌀롬이라 답 하지 않고 서로 아쌀로무 알레이쿰이라고 하는거죠 한마디로 바알레이쿰 아쌀롬은 어른이 연하의 상대에게 쓰는 답 인사입니다. 이제 저는 익숙해져서 이곳 사람들과 초면일지라도 자연스럽게 이렇게 ...Date2021.09.10 Category우즈베키스탄 Views177